강의

개요

한국환경건강연구소 전상일 소장님이 보건 및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다양한 주제로 직접 강의하십니다.

강의분야 및 내용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Risk Communication

  1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소개 introduction to risk communication
  2 위험인식 risk perception
  3 건강정보 문해력 health literacy
  4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원칙 risk communication principles
  5 메시지 작성 요령 risk messages, message mapping
  6 위해도 비교 risk comparison
  7 사례분석 case studies in risk communication
  8 위기대응 전략 crisis communication
  9 연구결과 소통 science communication
10 시각화 소통 visual communication
11 언론대응 media relations
12 비언어적 소통 non-verbal communication (NVCs)


미디어 트레이닝 Media Training  (*전직 언론인과 공동진행)

PART 1. 이론 교육
  1 언론의 속성
  2 기자(기자 직업)에 대한 이해
  3 인터뷰 요령
  4 신사협정과 엠바고(embargo)
  5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NVCs)
  6 과학기술의 발달(녹취)
  7 보도자료 작성법
  8 언론과의 예의
  9 이미지 메이킹(외모 가꾸기)
10 성공 및 실패 사례 분석

PART 2. 실습
  1 신문기자 인터뷰 실습
     전직 신문기자가 실제 상황을 가정하여 인터뷰 진행 (유도질문 대처방안 등) 

  2 방송 카메라 실습
      • 보도자료 발표 :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 후 즉석에서 전문가 피드백 제공
         (음성, 발음, 시선처리, 자세, 말투, 용어, 옷차림 등)
      • 방송기자 인터뷰 :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 후 즉석에서 전문가 피드백 제공


환경과 건강 -100세 건강을 위한 전략- Environment and Health

  1 건강을 위협하는 생활 속 위험요인들(Risk Factors) 
  2 수명을 늘려주는 요인들
  3 정신건강에 좋은 요인들                                                                                         
  4 건강에 좋은 습관
  5 건강에 나쁜 습관
  6 생활환경과 암(cancer)
  7 생활용품과 건강 

보건학의 미래 Future Public Health
  1 미래의 보건학 이슈들
  2 보건학 관련 직업
  3 보건학 전문가가 되기 위한 요건
  4 IT와 보건학의 결합
  5 보건학은 융합학문
  6 세계의 보건학 위인들
  7 보건학도가 반드시 읽어야 할 책 50권 

기후변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Risk Communication on Climate Change 
  1 기후변화와 인간의 건강
  2 기후변화의 취약계층
  3 기후변화와 라이프 스타일
  4 기후변화 대응방안
  5 기후변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
  6 기후변화와 산업변화

집과 건강 Healthy Building
  1 실내환경의 중요성
  2 실내 미세먼지
  3 습도와 건강
  4 환기와 건강
  5 채광, 인공조명과 건강
  6 실내온도와 건강
  7 집과 정신건강
  8 고층빌딩의 문제점
  9 새집증후군 / 병든건물 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
10 건강한 집 만들기

 공•잘•집 (공부 잘 되는 집) -실내환경과 집중력-
  1 실내환경과 질병
  2 조명
  3 소음은 적인가? 친구인가?
  4 벽지의 색깔 
  5 햇빛 잘 드는 방
  6 실내 온도
  7 환기
  8 병든건물 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
  9 책상과 걸상

식품과 건강
  1 위해 소통: 식품안전에 민감한 이유
  2 발암식품 
  3 건강을 해치는 식습관
  4 안전성 논란 이슈(성분)들
  5 식품 별 위험인식
  6 식품용어의 중요성
  7 기후변화와 식품안전
  8 과식을 부추기는 요인들
  9 외국의 식품안전 정책
10 식품안전 사건 사례 분석
   – 감자튀김과 아크릴아마이드 사건
   – 낙지 내장 카드뮴 이슈
   – 쇠고기와 인간광우병
   – 황사와 삼겹살

강의 경력

2017년
     3월   2일 Health Care Profile in KOREA (우즈베키스탄 경제사절단)
     3월 30일 Science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Public (광주과학기술원, GIST)
     4월 29일 Good Doctors, Good Communicators (대한의사협회 보건의료행정 고위자 과정)
     5월 11일 신종 감염병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서울시 간호사회 보수교육)
     5월 12일 Understanding Risk Communication (식약처 식품위해평가 전문과정)
     5월 17일 Risk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Public (환경과학원 세미나)
     6월    8일 What is risk communication? (서울대학교 학부생 환경과건강 수업)
     6월 22일 식품안전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한국여성소비자연합)

2016년
     1월   8일 기후변화적응 식품안전 Risk Communication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월   4일 축산물 위해 관리자를 위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4월   5일 식품안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서울시 직무교육)
     4월 27일 Risk Communication on Science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후변화 아카데미)
     5월   4일 Understanding Risk Communication (식약처 식품위해평가 전문과정)
     5월 24일 생활환경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에코맘코리아)
     6월   3일 What is risk communication? (서울대학교 학부생 환경과건강 수업)
     6월   8일 신종 감염병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서울시 간호사회 보수교육)
     6월 21일 생활화학제품 안전하게 사용하기 (한국여성소비자연합)
     6월 24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개요 및 리스크와 공중의 이해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실무과정)
     8월   7일 Risk Communication in The Dental Practice “효과적 소통이 치료효과를 높인다”
                          (대한치과위생사 협회 학술대회)
     8월 11일 국민과 효과적으로 건강정보 소통하기 (대한의학회 건강정보 아카데미)

2015년
     4월   8일 리스크커뮤니케이션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식품위해평가전문과정)
     5월 27일 Introduction to Risk Communication -Its role in Public Health-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6월   5일 What is risk communication? (서울대학교 학부생 환경과건강 수업)
     6월   9일 Risk Communication on MERS (대한의사협회)
     6월 23일 전염병 시대에서 살아남기 (한국여성소비자연합)
     9월 15일 정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MERS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국민대통합위원회)
     9월 23일 식약처 미래 발전방향에 대한 제언 (식품의약품안전처)
   10월   2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란? -Introduction to Risk Communication- (경남인재개발원 중견리더과정)
   10월   6일 메르스(MERS) 교훈 (한국여성소비자연합)
   10월   6일 생활 속 환경과 건강 -10代때 배운 지식이 평생 건강을 좌우한다- (천왕중학교)
   10월   7일 환경과 건강 -건강부모 면허증 (서초구청)
   10월 22일 감염병 시대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복지 + 환경보건 + 커뮤니케이션의 만남}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화)
   10월 29일 신종 감염병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서울시 간호사회 보수교육)
   10월 30일 알코올 통계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대한보건협회 절주전문 강사 양성교육)
   11월 23일 Risk Communication in Public Health -21C 보건의 핵심은 소통이다-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2014년 
     4월   1일 Importance of Risk Communication in Risk Analysis -리스크를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식품위해평가전문가과정)
     4월   4일 화장품 위해 평가 능력향상을 위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한국여성소비자연합)
     4월 27일 What is Risk Communication? -talking on the cosmetics-  (삼육대학교 보건관리학과)
     5월 17일 Impact of Visual Communication on Benzopyrene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5월 23일 What is risk communication? (서울대학교 학부생 환경과건강 수업)
     5월 26일 리스크커뮤니케이션 개요 및 공중의 이해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식품사고위기대응 실무과정)
     6월 20일 형광증백제에 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Risk Communication on FWAs  (한국여성소비자연합)
     7월   8일 식이 지방의 건강 영향에 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한국여성소비자연합)
   10월   7일 화장품 소비자 불만 사항에 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한국여성소비자연합)
   11월 14일 리스크커뮤니케이션 개요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의료기기 화장품 위기대응 실무과정)
   11월 20일 건강을 위한 면역력 증강 방안 -환경 및 습관의 영향- (한국여성소비자연합)
   11월 30일 Introduction to  Risk Communication -its role in Public Health-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년
     3월 15일 절주에 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한국보건복지연력개발원 절주사업 실무과정)
     4월 15일 What is Risk Communication? (건국대학교 분자생명환경학부)
     4월 16일 Principles of Risk Communication (이화여자대학교 예방의학교실 대학원)
     4월 18일 Tips for Talking about Risks (삼성안전환경연구소)
     5월 14일 Principles of Risk Communication (이화여자대학교 예방의학교실 대학원 강의)
     5월 24일 Importance of Risk Communication in Risk Analysis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6월   7일 What is risk communication? (서울대학교 학부생 환경과건강 수업)
     7월 12일 Risk Communication on Climate Change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7월 24일 기후변화 위험을 어떻게 소통할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9월 23일 Risk Communication on Food in Community Settings (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
   10월   1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개요 및 리스크와 공중의 이해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식품사고위기대응실무과정)
   10월 30일 건강한 노후를 위한 필수 건강상식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11월   8일 리스크커뮤니케이션 개요 및 리스크와 공중의 이해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의약품위기대응실무과정)

2012년
     2월 28일 에너지 절약과 건강-에너지도 절약하고 건강도 챙기고 (에너지시민연대)
     4월 12일 Communication on Food (동덕여대 식품영양학과) 
     5월 29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개요 및 사례 (식약처 위해관리자 실무과정)
     6월   1일 What is risk communication? (서울대학교 학부생 환경과건강 수업)
     6월 25일 Forest and Human Health (전북연구원)
     8월 17일 Risk Communication in Food Industry (한국산업식품공학회)
     9월 10일 Environmental Health & Risk Communication (환경과학원)
     9월 25일 Risk Communication on Food in Community Settings (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
   10월 31일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대한주부클럽연합회/전국주부교실중앙회)
   11월 23일 수은에 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국회 김춘진 의원 주최)

2011년
     5월 25일 리스크커뮤니케이션 개념의 이해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5월 25일 리스크커뮤니케이션의 원리 및 사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6월   3일 Risk Communication and Public Health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8월   3일 Effect of Risk Presentation on Persuasion in Risk Communication (식품의약품안전처)
     9월 19일 Communication on Organic & Eco-Friendly Products  (건국대학교 친환경농산물협회)
     9월 28일 Risk Communication and public health (상지대학교 의료경영대학 )
   10월 12, 14일 식약처 과장급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문교육 (식품의약품안전처)
   10월 13일 Risk Communication on Environmental Hazards (POSCO 광양)
   11월   4일 Data Communication in Risk Communication (식품의약품안전처) 
   11월   7일 Risk Communication Strategy using New Media (KFDA-독일 BfR 공동 국제 심포지엄) 
   11월 25일 Risk Communication and Public Health (용인대학교 환경보건학과) 
   12월 12일 Risk Communication and Health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12월 19일 실험연구결과에 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식품의약품안전처) 
   12월 20일 식품의약품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현황 및 리스크 커뮤니케이터 양성과정 타당성 조사                      
                            (식품의약품안전처)

2010년
     5월   4일 Forest and Human Health -숲치유 센터의 건강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국립공원관리공단)
     5월 20일 Risk Communication의 이해 (보건복지인력개발원)
     6월   5일 Risk communication and Public Health (서울대 보건대학원)
     7월 15일 Risk Communication on food safety (농림수산식품부 농식품안전워크숍)
     9월 17일 미국 보건관련 정부기관의 risk communication 현황 및 사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연구포럼)
   10월 25일 Risk & Crisis Communication in Food Industry (식품의약품안전처) 
   10월 29일 보건학의 미래와 보건학도의 의무 (을지대학교 환경보건과)
   11월 18일 Health communication on nutrition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11월 10일 건강한 노후를 위한 필수 건강상식 (한양대 행정자치대학원)
   11월 26일 위해물질에 대한 대국민 위해도 소통 (동아대학교 환경의학클리닉)
   11월 28일 건강한 노후를 위한 필수 건강상식 (한양대 행정자치대학원) 
   12월 15일 美와 건강을 위한 MUST-KNOWs (동덕여자대학교 피부미용과)

2009년
     2월 10일 급변하는 식품환경 속에서의 위기관리 (OCAP 기업소비자전문가협회)
     3월 17일 식품안전에 관한 기업의 위기관리 (㈜농심)
     3월 24일 보건학과 위해도 소통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4월   9일 식품안전 현황과 소비자 이슈 (녹색소비자연대)
     4월 17일 보건학과 위해도 소통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5월   8일 환경과건강, 미래산업의 동력이다 (을지대학교 환경보건과)
     5월 12일 Risk Communication on Cancer Cluster Research (인천길병원)
     5월 13일 Risk Communication on Cancer Cluster Research (국립암센터)
     5월 20일 What is risk communication (질병관리본부)
     5월 22일 석면에 관한 위해도 소통 (한국환경독성학회)
     6월   4일 Risk communication on radiation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6월   5일 Risk communication and public health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6월 29일 Health, As a Driving Force for Future Industry (LG전자 기술원)
     7월   8일 의약품 안전성에 대한 Risk Communication & Management (한국약료경영학회)
   10월   6일 전염병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 (한양대 행정자치대학원)
   10월   7일 전염병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 (한양대 행정자치대학원)
   10월 15일 전염병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 (한양대 행정자치대학원)
   11월   5일 건강한 승무원이 되기위한 MUST-KNOWs (극동대학교 항공운항서비스학과)

2008년
     6월 10일 How to Communicate Health Risks Effectively (국립암센터)
   11월   7일 광우병과 위해도 소통(Communicating Mad Cow Disease Risk) (산업의학회)
   11월   8일 환경과 건강, 미래 산업의 동력이다 (한림대학교 경영대학원)
   11월  11일 환경과 건강, 미래 산업의 동력이다  (창원대학교 경남바이오비전생물산업인력양성사업팀)
   11월 18일 환경과 어린이 건강 -아토피, 천식을 중심으로- (미래세대 환경교육가 양성 교육)
   11월 24일 Case Studies of Crisis Management on Food Safety in Foreign Countries (소비자단체협의회)

2007년
   12월 Future Health Issues (예산군보건소)

2005년
     9월 27일 환경보건과 한의학의 관계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강의 의뢰

주요 강의처
• 정부기관(정부 및 산하기관)
• 기업
• 대학·학회·협회
• NGOs

강의 의뢰
• onestop1472@gmail.com
  강의 날짜, 장소, 시간, 수강생, 강의료 정보를 알려 주십시오

강의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