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 평가

개요

 “의료자원이 희소한 우리나라 의료에서 경제성 평가는 필수입니다.”

신약(new drug)이나 의료장비를 도입하기 전에 치료효과와 비용을 고려한 경제성 평가를 수행합니다.  기존의 약이나 의료장비와 가격은 같은데 치료효과가 높거나, 치료효과는 같은데 가격이 낮다면 경제적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습니다.

“경제성 평가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경제학 및 보건학 분야에 관한 고도의 지식과 분석 능력이 필요합니다.”

한국환경건강연구소는 경제성 평가 이론 및 방법론을 대학에서 정통으로 배운 연구자들과 신약 및 의료기기에 대한 경제성 평가 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보건의료 경제성 평가는 경제학적 지식만 가지고 할 수 없습니다. 보건 분야의 해박한 지식과 경험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점에서 한국환경건강연구소는 신약 및 의료기기 경제성 평가를 누구보다 잘 할 수 있다고 자부합니다.

연구 업적

2014
• 골관절염 및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의 비용효과 분석

2012
• 심혈관계질환 약물치료대안의 비용-효과 분석

2010
• 재발된 다발성골수종 치료를 위한 Revlimid의 경제성 평가

2009
• 침습성진균감염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Noxafil의 경제성 평가
• 뇌졸중 재발 예방을 위한 Aggrenox의 경제성 평가

2008
• 신세포암(RCC) 치료를 위한 Temsirolimus의 경제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