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연구

보건학리스크 커뮤니케이션체계적 문헌고찰경제성 평가

개요

한국환경건강연구소에는 보건학•약학•의학•생물학•화학•독성학•환경과학 등 다양한 전공의 석사 및 박사 연구원들이 국내외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연구에 참여하고 계십니다. 체계적 문헌고찰 방식으로 연구주제 관련 논문들을 찾고, 검색하고, 소통하며 연구를 수행합니다.                

“한국환경건강연구소는 전 세계 보건분야 국내외 연구자들과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있어, 최신 정보와 의견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전문가가 쓴 최종 원고는 보건학을 이해할 수 있는 편집자(editor)가 교열 및 교정을 하고, 비문(非文)을 바로 잡아 읽기 편한 논문으로 완성합니다.  

연구 업적

2018
• PLS 인식제고를 위한 홍보 효과분석 사업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17
• 생활안전 위협요인 분석 및 정책과제 (정책기획위원회)
• 의료기기 등 식의약 안전평가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 유해물질 총서 현행화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 유해물질 간편 정보지 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
• 유해물질 총서 현행화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 유해물질 간편 정보지 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 가족체온 함께 나누기 프로젝트 기획연구(Ⅱ) (환경과학원)

2015
• 가족체온 함께 나누기 프로젝트 기획연구(Ⅰ) (환경과학원)
• 미용실 종사자 건강 가이드라인 홍보자료 개발 (환경부)

2014
• OECD 34개국의 음주폐해 예방·치료정책 분석 연구 (보건복지부)
• 우리나라 시도별 음주폐해 예방수준 연구 (보건복지부)

2012
• Personal exposures to PM 2.5 and their relationship (Atmospheric Environment, 47 c)

2010
• 유해물질 안전관리 통합노출평가 기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 유해물질 총서 <스마트폰용 어플> 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 어린이 식중독 예방을 위한 식품안전 교육연극 공연 (식품의약품안전처)

2009
•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에 관한 국내외 언론보도 사례 분석 (식품의약품안전처)

2008
• 천안시 국제 건강도시 육성 계획 연구 (천안시)

2007
• 아토피 없는 서울만들기 포럼 행사개최 (서울시)

2006
• 어린이 건강과 지속가능한 사회 정책연구 (대통령 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4
• 보건기상정보 산출기술 개발 – 기상변화에 따른 건강예보 시스템 개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련 자료

  음주폐해 예방·치료정책 분석    -보건복지부-

   음주폐해 예방수준 비교분석    -보건복지부-

  유해물질 총서[스마트폰 어플]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 교육연극 공연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 교육연극 공연                             -식품의약품안전처-

   어린이 식중독 예방을 위한 식품안전 교육연극 현수막          -식품의약품안전처-

                  아토피 없는 서울만들기 포럼  현수막                   -서울시-

개요

RISK COMMUNICATION 정의 (세계보건기구)

“Risk communication is an integral and ongoing part of the risk analysis exercise, and ideally all stakeholder groups should be involved from the start.”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위해소통)은 일방적인 홍보(PR)나 브리핑(briefing)이 아닙니다. 단순한 정보전달(information delivery)도 아닙니다.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아진 위기 상황에서 수행하는 양방향 소통입니다.
따라서 평소의 일상적 소통방식과 다른 특수한 소통방식이 필요합니다.

“리스크 자체보다 리스크에 대한 위험인식 차이(risk perception gap)가 더 큰 문제를 야기하곤 합니다.”

전문가들은 리스크를 과학적 근거에 입각하여 확률적(量的)으로 평가하지만, 대중은 동물적 본능과 경험 등을 우선하여 이분법적(質的)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동일한 리스크를 놓고 전문가와 대중은 서로 다른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 사회는 종종 과도한 공포심에 휩싸이거나 반대로 높은 리스크를 방치하는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고 있습니다.

“Risk 속성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제대로 된 소통전략을 수립할 수 없습니다.”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잘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RISK (환경보건, 의학, 안전, 의약품 등 전문분야)와 COMMUNICATION 두 분야를 모두 잘 알아야 합니다. 한국환경건강연구소에는 RISK 전문가와 COMMUNICATION 전문가가 모두 있으며, 지난 수년간 공동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지금은 누가 Risk 전공자이고 누가 Communication 전공자인지 헷갈릴 정도로 두 분야를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한국환경건강연구소는 정부•전문가•언론•산업계•NGOs•일반 국민 사이에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잘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연구 업적

2016
Asbestos 자연발생 석면 위해소통 연구 (환경부)
Climate change 기후변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
Endocrine disruptors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에 관한 리스크커뮤니케이션 (식품의약품안전처)
Cosmetics 화장품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
Visual communication 시각화 자료를 활용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GMOs News Media Use, Informed Issue Evaluation, and South Koreans’ Support for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Part B: Communication and Public Engagement)

2012
Hazards 유해물질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Food 소비안전 역량 강화를 위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동향 파악 (농림수산식품부)
Health literacy 헬스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공공기관 건강정보의 활용 가능성 탐색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제29권 3호)
Risk perception 한국인의 식품관련 위험인식 및 건강정보 문해력 조사연구
   (대한보건연구 제38권 2호, 대한보건협회)
Heavy metals 중금속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2011
• Heavy metals 중금속에 관한 Health Literacy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 Food & Drug 분야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문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Research communication 실험연구결과의 위해소통 기법 개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QUICK GUIDE (식품의약품안전처)

2010
• 위해관리 및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콘텐츠 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 농림수산식품부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Novel Foods 신소재식품 대국민 인식도 조사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관리를 위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식품의약품안전처)

2009
Case study 소비자 단체와 함께하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사례중심 교육홍보 프로그램 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Drug 의약품 안전사용을 위한 홍보 등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강화방안 (식품의약품안전처)

2006
Food additives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보전달의 문제점 및 대응방안 (식품의약품안전처)


관련 자료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식품의약품안전처-

             QUICK GUIDE                -식품의약품안전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수행 절차

개요

 
“체계적 문헌고찰은 근거중심(evidence-based) 연구의 핵심적 접근방법입니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연구 주제에 대한 종합적 결론을 얻기 위해 다양한 학술문헌들을 체계적으로 탐색•평가•종합하는 연구방법론입니다. 주먹구구식으로 찾은 논문 리뷰를 단순히 합친게 아니라 새로운 문헌을 작성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한국환경건강연구소는 의약품의 질병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환경 및 의료 소송에서 인과관계 입증을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등을 수행했습니다. 저희는 자료가 어디에 있는지(know-where), 자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know-how)를 잘 알고 있습니다.

관심분야에 대한 체계적 학술적 증거자료를 원하시면 한국환경건강연구소와 상의해 주십시오.
숙련된 연구자가 도와드리겠습니다.

연구 업적

2011
• Gilenya 의약품의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2010
• Revlimid 의약품의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Torisel 의약품의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Kidney transplantation에서 immunosuppressant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2009
• 교통소음과 심장질환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2008
• Fosinopril 의약품의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ggrenox 의약품의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Noxafil 의약품의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Toviaz 의약품의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Monopril 의약품의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2007
• Eraxis 의약품의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체계적 문헌고찰 수행 절차

개요

 “의료자원이 희소한 우리나라 의료에서 경제성 평가는 필수입니다.”

신약(new drug)이나 의료장비를 도입하기 전에 치료효과와 비용을 고려한 경제성 평가를 수행합니다.  기존의 약이나 의료장비와 가격은 같은데 치료효과가 높거나, 치료효과는 같은데 가격이 낮다면 경제적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습니다.

“경제성 평가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경제학 및 보건학 분야에 관한 고도의 지식과 분석 능력이 필요합니다.”

한국환경건강연구소는 경제성 평가 이론 및 방법론을 대학에서 정통으로 배운 연구자들과 신약 및 의료기기에 대한 경제성 평가 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보건의료 경제성 평가는 경제학적 지식만 가지고 할 수 없습니다. 보건 분야의 해박한 지식과 경험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점에서 한국환경건강연구소는 신약 및 의료기기 경제성 평가를 누구보다 잘 할 수 있다고 자부합니다.

연구 업적

2014
• 골관절염 및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의 비용효과 분석

2012
• 심혈관계질환 약물치료대안의 비용-효과 분석

2010
• 재발된 다발성골수종 치료를 위한 Revlimid의 경제성 평가

2009
• 침습성진균감염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Noxafil의 경제성 평가
• 뇌졸중 재발 예방을 위한 Aggrenox의 경제성 평가

2008
• 신세포암(RCC) 치료를 위한 Temsirolimus의 경제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