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개요

RISK COMMUNICATION 정의 (세계보건기구)

“Risk communication is an integral and ongoing part of the risk analysis exercise, and ideally all stakeholder groups should be involved from the start.”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위해소통)은 일방적인 홍보(PR)나 브리핑(briefing)이 아닙니다. 단순한 정보전달(information delivery)도 아닙니다.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아진 위기 상황에서 수행하는 양방향 소통입니다.
따라서 평소의 일상적 소통방식과 다른 특수한 소통방식이 필요합니다.

“리스크 자체보다 리스크에 대한 위험인식 차이(risk perception gap)가 더 큰 문제를 야기하곤 합니다.”

전문가들은 리스크를 과학적 근거에 입각하여 확률적(量的)으로 평가하지만, 대중은 동물적 본능과 경험 등을 우선하여 이분법적(質的)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동일한 리스크를 놓고 전문가와 대중은 서로 다른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 사회는 종종 과도한 공포심에 휩싸이거나 반대로 높은 리스크를 방치하는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고 있습니다.

“Risk 속성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제대로 된 소통전략을 수립할 수 없습니다.”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잘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RISK (환경보건, 의학, 안전, 의약품 등 전문분야)와 COMMUNICATION 두 분야를 모두 잘 알아야 합니다. 한국환경건강연구소에는 RISK 전문가와 COMMUNICATION 전문가가 모두 있으며, 지난 수년간 공동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지금은 누가 Risk 전공자이고 누가 Communication 전공자인지 헷갈릴 정도로 두 분야를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한국환경건강연구소는 정부•전문가•언론•산업계•NGOs•일반 국민 사이에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잘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연구 업적

2016
Asbestos 자연발생 석면 위해소통 연구 (환경부)
Climate change 기후변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
Endocrine disruptors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에 관한 리스크커뮤니케이션 (식품의약품안전처)
Cosmetics 화장품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
Visual communication 시각화 자료를 활용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GMOs News Media Use, Informed Issue Evaluation, and South Koreans’ Support for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Part B: Communication and Public Engagement)

2012
Hazards 유해물질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Food 소비안전 역량 강화를 위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동향 파악 (농림수산식품부)
Health literacy 헬스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공공기관 건강정보의 활용 가능성 탐색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제29권 3호)
Risk perception 한국인의 식품관련 위험인식 및 건강정보 문해력 조사연구
   (대한보건연구 제38권 2호, 대한보건협회)
Heavy metals 중금속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2011
• Heavy metals 중금속에 관한 Health Literacy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 Food & Drug 분야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문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Research communication 실험연구결과의 위해소통 기법 개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QUICK GUIDE (식품의약품안전처)

2010
• 위해관리 및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콘텐츠 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 농림수산식품부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Novel Foods 신소재식품 대국민 인식도 조사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관리를 위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식품의약품안전처)

2009
Case study 소비자 단체와 함께하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사례중심 교육홍보 프로그램 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Drug 의약품 안전사용을 위한 홍보 등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강화방안 (식품의약품안전처)

2006
Food additives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보전달의 문제점 및 대응방안 (식품의약품안전처)


관련 자료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식품의약품안전처-

             QUICK GUIDE                -식품의약품안전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수행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