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트레이닝

개요

“매스 미디어는 기피대상이 아니라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대신 해 주는 친구입니다.”

미디어를 잘못 이해하고 대응하다가 자신의 이야기가 의도와 다른 방향으로 알려지는 고초를 겪으신 분들이 많습니다. 현대사회에서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미디어를 정확히 이해하고 미디어와 원활히 소통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미디어와 능숙하게 잘 지낼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미디어 트레이닝을 통해 능숙한 미디어 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한 두 차례의 미디어 트레이닝으로 달라지는 자신의 모습에 놀라실 수 있습니다.
내 자신이 기관의 대변인처럼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강사
전·현직 베테랑 신문 및 방송 기자(앵커),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컨설턴트

대상
고위 공무원, 기업 간부, 국회의원, 기관장, 교수, 연구자 등                       

수강생
최대 15명

수강 신청 및 문의
 onestop1472@gmail.com
 (이메일로 수강신청자의 성함, 소속, 직급, 수강 희망시기 등에 관한 정보를 남겨 주시면 답변을 드립니다.)

∗ 미디어 트레이닝 강좌는 상시 개설되지 않고, 기관(기업)의 요청에 따라 개설되는 ON-DEMAND 형식입니다.
   개인적으로 미디어 트레이닝을 받고 싶으신 분은 이메일로 참가 신청을 해 놓으시면 정원(15명)이 구성되었을 때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이론 교육
   1 언론의 속성
   2 기자(기자 직업)에 대한 이해
   3 인터뷰 요령
   4 신사협정과 엠바고(embargo)
   5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NVCs)
   6 과학기술의 발달(녹취)
   7 보도자료 작성법
   8 언론과의 예의
   9 이미지 메이킹(외모 가꾸기)
 10 성공 및 실패 사례 분석     

실습
  1 신문기자 인터뷰 실습
     전직 신문기자가 실제 상황을 가정하여 인터뷰 진행 (유도질문 대처방안 등) 
  2 방송 카메라 실습
      • 보도자료 발표 :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 후 즉석에서 전문가 피드백 제공
         (음성, 발음, 시선처리, 자세, 말투, 용어, 옷차림 등)
      • 방송기자 인터뷰 :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 후 즉석에서 전문가 피드백 제공

신문기자 인터뷰 실습

카메라 인터뷰 실습

업적

2012
• 자연과학 연구자를 위한 미디어 트레이닝 (식품의약품안전처)

2011
• 과장급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문교육 (식품의약품안전처)
• 언론대응 이론 및 원칙의 설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실무과정 (보건복지인력개발원)